중앙문화380 2022 가을겨울 83호 <현현: 사람이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있음> https://drive.google.com/file/d/1RXMNEP5HoCWVKlMLkF_HwrxrGWmThUa7/view?usp=sharing 2022-83회.pdf drive.google.com 여는 글 전방 100m 앞, 스쿨존입니다. 08 그늘 도시, 그들 도시; 흑석동 이야기 32 부지(不知)가 부재(不在)가 되지 않게 42 휘진의 취재노트; 축제 라인업, 내가 물어봤다 52 퀴어 커플 CC 대작전 전방 200m 앞, 과속방지턱입니다. 60 K라는 이름의 허상 74 읽을 수 없는 사람들 84 당신 곁의 커뮤니티 전방 300m 앞, 커브길에 유의하십시오. 106 망한 세상에서 SF로 싸우는 법 112 이 글이 전보가 된다면, 당신의 안녕을 묻고 싶다 118 가난한 시간, 가만한 빈곤 128 낱.. 2023. 7. 6. [속보] 서울캠 ‘산하위원회 개편안’ 가결… 현 장인위 사실상 폐지 수순 편집장 김가윤 편집위원 정상원 취재지원 손수민 ▲찬성 181표, 반대 57표로 총학 산하위 조정안 가결 ▲장인위는 학인위로, 인복위는 학복위로 개편 ▲표결 앞두고 약 2시간가량 논의 이어져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장애인권위원회(이하 장인위)가 출범 4년 만에 사실상 폐지됐다. 6일 오후 7시 102관 대강당에서 열린 2023-1학기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이하 전학대회)에서 장인위를 포함한 서울캠퍼스 ‘총학생회 일부 산하위원회 체제 개편안’이 최종 가결됐다. 학생대표자 285명이 출석한 가운데 찬성표 181표, 반대표 57표, 기권표 47표가 나왔다. 해당 표결은 약 두 시간에 걸친 논의 끝에 이뤄졌다. 원안 표결에 앞서 ①장인위 유지 및 인권복지위원회(이하 인복위) 분리 ②장인위와 인복위 업무 조정 및 명칭 .. 2023. 4. 6. [보도] ‘그린’, 첫 전학대회 개최… 존폐 위기에 놓인 장인위 편집위원 정상원 편집장 김가윤 취재지원 손수민 이예린 정다빈 ▲서울캠 총학 ‘그린’ 당선 후 첫 전학대회 소집 ▲장인위 폐지 포함된 산하위원회 개편안 상정돼 ▲“장애학생 누구도 개편 소식 몰랐다”... 폐지 반대 연서명 이어져 장애인권위원회(이하 장인위)를 비롯한 산하위원회 체제 개편안 의결이 6일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이하 전학대회)에서 진행된다. 앞서 3일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제65대 총학생회 ‘그린’은 전학대회 의결안건을 공고했다. 이날 공개된 의결안건에는 △총학생회 회칙 개정안 △1학기 학생회비 확정안 등도 포함됐다. 이번 전학대회는 102관 대강당에서 ‘그린’ 당선 이래 처음으로 개최된다. 전학대회 개의를 위해서는 직접선거에 의해 선출된 재적 학생 대표자 과반의 참석이 필요하다. 지난해 10월 1.. 2023. 4. 6. [특집2: 2015구조조정]바람과 함께 사라진 한 학기 ― 2015 구조조정 진행상황 편집위원 신지영 “구조조정 반대 연서명을 받는 중입니다. 잠시만 시간 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월 초 해방광장과 정, 후문 쪽에서 매일 들리던 말이다. 그곳에서 몇 주간 매일 학생들이 광장에 나와 사람들에게 유인물을 나눠주고 서명을 받았다. 그 뿐만이 아니다. 그들은 강의실에 방문해 구조조정안을 설명하고 서명을 받기도 했다. 교수들도 목소리를 내기 위해 광장에 나왔다. 캠퍼스는 대자보로 도배됐고, 갖가지 현수막이 내걸렸다. 구조조정 이야기로 순식간에 한 학기가 지나갔다. 여전히 공사장 벽에는 학생들이 붙인 소통의 벽이 있지만, 그동안 시끄러웠던 학교는 어느새 잠잠해졌다. 하지만 그 사이에 ‘후퇴는 없다’던 구조조정안은 훨씬 축소됐다. 짧다면 짧다 할 수 있는 2달 동안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2023. 3. 17. [특집2: 2015구조조정]본부에, 본부에 의한, '학생'을 위한 구조조정? 편집위원 이대엽 2016학년도 입학전형계획이 확정됐다. 요지는 정시모집 광역화다. 정시모집에서 신입생을 모두 단과대학별로 모집해 2학년 때 학과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른바 ‘전공 선택제’다. 이를 통해 입학하는 학생들은 현행 정시모집 비율과 동일한 총 정원의 22%다. 한편 정시모집 광역화의 적용을 받지 않는 단위는 ▲특성화학과(국제물류학과, 산업보안학과, 소프트웨어전공) ▲예체능 계열 ▲사범•의•약•간호계열이다. 반면 수시모집에 대해서는 기존의 학과제 선발 방식을 동일하게 적용한다. 이 제도를 운영하기 위한 ‘세부 사항’은 6월 현재 에서 논의 중이다. 하지만 세부 사항이라 뭉뚱그리기엔 중요한 내용이 많다. 우선 정시모집으로 입학할 학생들을 어떻게 교육하고 지도할지가 요원하다. 별도모집을 실시하.. 2023. 3. 17. [일러스트] 2023. 3. 17. [학생자치]그 겨울 '빨간 벽돌'엔 상처만이 남았다 - 동아리연합회 선거 편집위원 이대엽 지난해 동아리연합회(동연) 선거는 부정과 의혹으로 얼룩졌다. 중립을 지켜야 할 선거관리위원장(선관위원장)이 일탈을 저지른 것이다. 선관위는 부정을 인정했지만 ‘재선거는 필요없다’며 논란을 부채질했다. 당선인이 부정 행각에 동조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우여곡절 끝에 선거가 원점으로 돌아가며 선관위는 해체됐다. 동연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체제로 추운 겨울을 보냈다. 2015년 3월 동연은 개강과 함께 재선거에 돌입했다. 선관위는 새롭게 꾸려졌고 후보 등록도 순조롭게 마무리됐다. 게시판은 신입 부원을 모집하는 형형색색의 포스터로 가득했다. 선거 파행의 악몽은 그렇게 스러지는 줄 알았다. 하지만 불행은 다시 찾아왔다. 한 선본이 페이스북 ‘좋아요’ 때문에 후보 자격을 박탈당한 것이다. 평화.. 2023. 3. 17. [학생자치]동연 회칙 더 알아봅시다 : 동아리연합회 선거 파헤치기 지난해와 올해의 동연 선거 파행 사태를 통해 동연 선거 제도의 허점이 드러났다. 개선되지 않는다면 언젠가 또 골칫 거리가 될 수 있는 문제들이다. 지금부터 그 지점들을 짚어 본다. 1. 동아리연합회, 당신은 누구십니까 시작하기에 앞서, 글을 읽는 내내 꾹 참았던 궁금증부터 해결하고 가자. 도대체 동아리연합회가 무엇이기에 이런 파국의 중심에 서게 됐을까? 동연의 설립 목적 중 하나는 ‘각 동아리의 고립분산적 활동을 지양하고 각 회간의 교류와 연대활동을 원활히 하는 것’이다. 한 마디로 동아리들이 서로 상부상조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보면 된다. 동아리 활동을 한 번이라도 해 본 독자들은 알겠지만, 동아리가 겪게 되는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바로 ‘돈이 궁하다’는 것이다. 그래 서.. 2023. 3. 17. [학생자치]중앙대 학내언론의 현주소 편집위원 지산하 “총장이 발행인인 중대신문의 기본 논조는 학교를 대변해야 한다” “원칙에 반하는 편집 방향으로 1회라도 발행하면 그날로 중대신문은 폐간하는 날”[1] -박용성 전 이사장이 재단 임원들에게 보낸 이메일 중에서- 중앙대학교 언론매체의 현실이다. 그간 대학본부가 미디어센터(구 언론매체부) 소속 언론의 편집권을 침해할 것이란 추측은 있었다. 박 전 이사장의 이메일은 추측이 추측에 그치는 것만은 아니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메일은 대학본부가 학내 언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단적으로 드러냈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좀 더 실제적인 내용을 담은 이메일도 있었다. ‘중대신문에 실릴 예정이었던 B 교수의 기고문을 빼고 구조개혁 관련 기획기사를 다음 호로 미루게 했다’ [1] -이태현 미디어센터장이 박 전 이.. 2023. 3. 17. [학생자치]메마른 학생자치, 산하기구 같은걸 끼얹나...? 편집위원 채효석 수습위원 박기현 중앙대학교 총학생회 회칙(서울캠) [개정 2014.10.28.] 제 10 장 각 위원회 제 54 조(위치) 1 .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전학대회 이상 의결단위에서 설립을 결정한다. 2 . 각 위원회는 자치활동을 위해서 별도의 규정과 조직을 가지며, 이는 전학대회 이상 의결단위에서 통과되어야 한다. 제 55 조(각 위원회) 1 . (위치) 각 위원회는 총학생회장 산하기구로서 총학생회 각각의 특성에 맞는 업무를 분담하여 해당 업무를 관장, 집행한다. 2 . (위원장) 각 위원장은 총학생회장이 중운위의 동의를 받아 임명한다. 3 . (업무 및 권한) 각 위원회는 별도의 운영 규정을 두고 한해 사업방향과 내역, 예산 및 결산을 전학대회에서 의결한다. 산하기구? 학기 초 다이어.. 2023. 3. 17. 이전 1 ··· 5 6 7 8 9 10 11 ···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