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앙문화345

후보자격 박탈, 그리고 이변의 선거 무산 투표 시작까지 약 8시간 남겨놓은 11월 24일 새벽 0시 40분,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결국 기호2번 ‘함께바꿈’ 선본(이하 ‘기호2번’)의 후보자 자격을 박탈한다. 이로써 의혈중앙 제58대 총학생회 선거는 단선으로 치러졌다. 커피 한 잔의 향응과 사진엔 없던 비표 11월 16일, 기호2번 송종원 정후보는 모 학과 학생회장을 만나 1700원짜리 커피를 사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중선관위’)는 “향응을 제공했다”며 주의 1회를 부과했다. 송 정후보는 “해당 학생회장의 고충과 고민, 총학생회의 역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며 접대성 만남은 아니었다고 했지만, 중선관위는 “커피 한 잔이라도 사적으로 제공했기 때문에 징계사유가 된다”고 말했다. 두 번째 주의 처분은 19일 합동공청회 자리에서 나왔다. 기.. 2021. 1. 31.
[인터뷰] 학생자치의 가능성을 묻다 ― ③ “학생들이 스스로 자치의 영역을 넓혀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_ 김재경 2015 구조조정 학생공동대책위원회 위원장 03|"학생들이 스스로 자치의 영역을 넓혀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2015년 3월, 개강을 앞두고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들려왔다. 더 이상 중앙대에서 구조조정은 새로운 이슈가 아니었지만 이번엔 뭔가 달랐다. 학과제를 폐지하고 거의 모든 단과대를 학부제로 전환한다는 갑작스런 통보였다. 이로써 대부분의 학과는 구조조정의 당사자가 됐다. 게시판마다 교수들과 학생들의 대자보가 줄줄이 나붙었다. 불안감은 커져만 갔다. 그러나 총학생회는 2주가 지나도록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모두가 총학생회의 입만 바라보고 있었다. 그러던 중 ‘구조조정 학생 공동대책위원회’(이하 학생 공대위)가 발족됐다. 공대위는 “소통 없는 구조조정에 반대한다”며 학생여론의 포문을 열었다. 공대위의 결성을 주도한 사회학과 학생회장 김재경을 만나.. 2021. 1. 31.
학내 청소, 시설노동자 실태보고 2021. 1. 31.
故 최종범 열사를 추모하며 이 이야기는 '배고파 못 살았던’ 한 사람의 이야기입니다. 삼성전자 서비스의 수리기사로 수어 년 일했지만 삼성의 직원은 될 수 없었던. 서른 셋, 세상을 등지기엔 아직 너무 젊었던, 갓 돌도 지나지 않은 딸 별이의 아빠였던, 카카오톡으로 “부디 도움이 되길 바라겠다”는 유서를 남기고 목숨을 던져야 했던 고 최종범 열사의 이야기입니다. 사람답게 살고 싶다는 그 어려운 꿈 그는 배고프지 않기 위해 ‘개처럼' 일해야 했습니다. 매일 야근하다 사정이 넘어서야 집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달력에 파랗게, 또 빨갛게 색칠된 주말은 남의 이야기였습니다. 성수기에 명절이라도 끼어 있으면 명절마저 반납하고 일했습니다. 성수기 때 바짝 벌어놓지 않으면 삼성전자 서비스의 수리기사들은 1년을 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삼성전.. 2021. 1. 31.
[인터뷰] 학생자치의 가능성을 묻다 ― ② “저는 지금 운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_ 강남규 자유인문캠프 기획단 / 독립저널〈잠망경〉편집장 02 |"저는 지금 운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자유인문캠프, 이름만 들어선 무슨 단체인지 잘 모르겠다. 슬로건인 “자기교육운동 해방의 인문학”을 봐도 잘 와닿지 않는다. 자유인문캠프(이하 '자캠')는 구조조정 등 중앙대에 불어 닥친 대학기업화의 맥락에서 탄생했다. 다시 말해 교육으로 운동하는 단체다. 잠망경은 자캠 사업의 일환으로 만든 독립저널이다. 오프라인 신문과 온라인 홈페이지,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학내 문제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낸다. 최근에는 영상 매체인 잠망경TV도 개국했다. 09학번, 강남규 〈잠망경〉 편집장은 자신을 두산 1세대라고 소개했다. 자유인문캠프가 탄생한 맥락을 통해 당시 중앙대 상황을 알아보고 자치 현실에 대한 그의 분석을 들어봤다. "자기교육운동, 해방의 인문학" 중앙문화 .. 2021. 1. 31.
[인터뷰] 학생자치의 가능성을 묻다 ― ① “자치가 사라지면 더 이상 물음표를 그릴 수 없죠”_ 노영수 독어독문학과 03학번 01|"자치가 사라지면 더 이상 물음표를 그릴 수 없죠" 2003년 입학, 2014년 수료. 학교 참 오래 다녔다. 대학의 달라진 분위기를 직접 체감했을 시간이다. 10년 가까운 세월 동안 그는 중앙대에서 많은 일을 겪었다. 진중권 교수의 해임, 시위, 징계, 구조조정, 고공농성, 삭발, 삼보일배로 국토대장정, 퇴학과 소송 그리고 복학, 정말 다양하다. 그의 이름 옆에는 아직도 중앙대가 붙는다. 노영수가 싸우던 문제가 해결되기는커녕 중앙대에서 한국사회 전반으로 퍼졌기 때문이다. 이제 구조조정과 투쟁은 대학의 보편적인 문제가 됐다. 노영수의 행동이 중앙대 학생사회에 미친 파문이 컸다는 이유도 있다. 아직까지도 학내 온라인 게시판에서는 그의 이름이 간간이 거론된다. 물론 ‘운동권’ 혹은 ‘종북’의 꼬리표를 .. 2021. 1. 31.
집 없는 대학생, 떠도는 청춘 수습위원 권현지 올해 초 대학에 합격한 A씨는 기뻐할 새도 없었다. 지방을 떠나 서울로 올라가게 됐지만 살 곳을 구하지 못했기 때문. 믿었던 기숙사는 허무하게 떨어졌다. 서울에 계신 삼촌 댁에서 신세를 질까 생각도 했지만, 주위의 경험을 들 어보니 그것도 아닌 것 같았다. 결국, 집을 알 아보기 위해 입학을 몇 주 앞두고 서울로 향 했다. 학교 앞 부동산을 여러 곳 돌아다녀 봤 지만 가격대비 괜찮은 방은 계약이 이미 다 끝났다고 했다. 마음에 드는 원룸이 있었지만, 월세에 공고ᅡ금까지 더하면 감당하기 힘들 정 도로 비쌌다. 좀 더 알아보고 오겠다고 하고 부동산 문을 닫고 나 왔다. 대학생활은 아직 시작하지도 않았는데 A씨의 눈앞은 캄캄해 졌다. “어디서 살아야 하지……” 주거비 부담, 누구도 피할 수 없.. 2021. 1. 30.
그 쫓겨난 임차상인은 어디로 가면 됩니까 편집위원 이찬민 국수마당은 왜 정문에서 사라졌을까 '국수마당'이라는 국수집이 중앙대 정문 앞에 있었다. 스무 명도 못 들어가는 작은 가게지만 점심시간이면 학생들이 줄지어 기다리곤 했다. 2013년 여름방학이 끝나자 북적이던 국수마당은 볼 수 없었다. 국수마당이 떠난 자리는 다른 상호명의 국수집이 대신했다. 학생들은 영문도 모른 채 단골집을 잃어버렸다. 2014년 1학기 개강과 함께 반가운 소식이 들여왔다. 국수마당 이 흑석시장에 다시 개업했다는 것이다. 소리 없이 사라진 국수마 당은 어디에 있다 온 것일까. 어찌된 일인지 국수마당을 찾아가보 았다. 그간의 사정을 묻자 국수마당 사장 김 모(46) 씨는 잠시 머 뭇거리다 이내 한숨과 함께 운을 뗐다. 김 씨가 국수마당을 개업한 때는 9년 전. 당시만 하더라.. 2021. 1. 30.
지구를 구하는 사람들, 교내 환경 소모임 지구인을 만나다 진행 및 편집: 편집위원 채효석 인터뷰 정리: 수습위원 이경주 우리는 모두 지구에 살고 있다. 하지만 지구인이라는 정체성 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지난겨울, 중앙인 에 ‘지구인을 찾습니다.’라는 글이 올라왔다. 그리고 수개월 이 지나서는 캠퍼스 이곳저곳에 지구인의 현수막이 걸렸다. ‘지구인’이란 이름을 듣는 순간 의아하다. 익숙지 않음에서 오는 의아함이다. 그런데 여기, 그 이름 아래 모인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지구인으로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 을까. 교내 환경소모임 ‘지구를 구하는 사람들(이하 지구인)’ 를 만나보았다. '지구인'들의 만남 중앙문화: 지구인은 환경 소모임이라고 들었어요. 환경 소모임은 다소 생소한데 처음에 동아리를 만들게 된 계기가무엇이었나요? 김한글: 처음.. 2021. 1. 30.
교수일기 2021.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