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보기/2020 가을겨울, 79호 <비가역: 다시 돌아갈 수 없는>16 팬데믹, 학생자치의 길을 묻다 편집장 채효석 편집위원 김민지 학생자치 하기에 올해 참 힘들었습니다. 나름의 기획을 가지고 있던 학생자치자들에게도, 한창 여러 행사에 참여해보고 싶었을 신입생들에게도 힘들었을 겁니다. 는 ‘비대면’이 강타한 올해 학생자치를 돌아보고, 미래를 그려보고자 했습 니다. 이를 위해 50여 명에 달하는 자치자들을 만나 함께 고민해보았습니다. 뒤에 나올 두 기사에 표기된 자치자들의 ‘직함’은 인터뷰 당시를 기준으로 했음을 알려드립니다. 인터뷰는 대부분의 대표자들의 임기가 끝난 12월 1일 전에 이루어졌습니다. 단절과 연결 “학생자치 속 많은 문화들의 명맥이 끊길 것 같다” 정치국제학과의 학생이 인터뷰 중 한 말이다. 이는 20학번들의 상황 때문이다. 비대면 학습이 1년을 이어지며 아직 캠퍼스도 못 밟아본 새내기가 .. 2020. 12. 23. 디지털 플랫폼이 약속하는 미래, 과연 혁신일까 2020 가을겨울 서준상(중앙대학교 사회학 석사) “대체로 플랫폼은 타자가 교류하는 텅 빈 장소로 자신을 표방하지만, 사실상 권력관계(politics)를 내재한다.” - 닉 서르닉, 『플랫폼 자본주의』 코로나19는 일상의 많은 부분을 바꿔 놓았다. 감염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확산되면서 비접촉·비대면 상호작용이 일상화되었고, 그에 따라 재택근무나 배달·택배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했다. 택배노동자의 잇따른 과로사와 배달노동자들의 불안전한 노동 환경이 언론을 통해 드러나면서 사회에서 필수적인 노동을 수행하는 이들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졌다. 다른 한편에서는 ‘위기를 기회로’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문재인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기조에서 .. 2020. 12. 23. 대학의 미래로 가는 길 위에서 - 중앙대 교수노동조합 신설과 의사결정 구조 변화를 파헤쳐 보기 편집위원 김현경 올해는 많은 것들이 변하고, 변할 것으로 예측되는 한 해였다. 대학의 의사결정 구조도 큰 변화를 앞둔 것 같다.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주체 하나의 위치가 크게 달라졌기 때문이다. ‘중앙대학교 교수노동조합’이 신설되며 교수사회는 학내 소통에서 이전보다 적극적인 의사 참여와 영향력 증대를 준비하고 있다. 학생사회도 이 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왜 그런지 예측하기 힘들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도록 하자. 중앙대 교수노동조합은 6월 25일에 설립됐다. 교수로 구성된 노동조합은 낯설다. 교수노동조합의 설립이 가능해진 것은 올해 5월 20일부터였다. 기존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이하 교원노조법) 제2조는 초∙중∙고등학교에 종사하는 교원만을 포괄하는 법으로 대학.. 2020. 12. 23. 2020, 학생자치 안녕하셨습니까 중앙문화 김현경, 황혜현, 김민지, 채효석 코로나19 이후 학생자치 돌아보기 코로나19로 많은 것들이 바뀐 해였다. 학생자치 역시 변화를 피할 수 없었다. 대책을 세울 틈없이 학생자치 활동은 축소됐고, 활동 영역은 온라인으로 바뀌었다. 이전에 언급되던 ‘학생자치의 위기’와는 다른 형태였다. 사람들은 코로나19로 변화와 혁신이 앞당겨졌다며 미래를 준비한다. 중앙문화는 학생자 치의 미래를 섣불리 예측하기 이전, 2020년 학생자치의 모습을 되돌아봤다. 코로나 19 이후 대면이 불가능해지면서 학생들과 소통해야 하는 학생회로서는 상당히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우선, 사업이나 설문조사 등의 홍보 면에서도 어려운 점이 많고, 지난 해까지 소통부스를 통해 직접 학우들을 만나면서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창구가 있었던 것.. 2020. 12. 23. 편집위원 주거생활기 중앙문화 김시원 김현경 채효석 #1 경력: 기숙사 입주 1회, 자취방으로 이사 1회, 쉐어하우스 입주 1회, 기숙사 탈락 2회, 망한 자취방 대회 우승 1회 경력이 중요한 시대라는데, 나는 주거와 관련해 꽤나 화려한 경력을 갖고 있다. 내 경력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서울에서 사는 2년간 이사를 크게 세 번 했고, 학교 기숙사는 학점 커트라인 미달로 2회 탈락했으며, 현재 살고 있는 쉐어하우스가 망한 자취방 대회애서 우승해 상품으로 에어프라이어를 받기도 했다. 대학을 합격하고 서울에서 처음 살게 된 곳은 블루미르홀 309관이었다. 실은 어릴 때부터 독립에 대한 로망이 있었다. 서울에 오게 된 것도 내가 살던 지역에서 탈출해 나만의 공간에서 서울 라이프를 즐기겠다는 막연한 기대 때문이었다. 당시 나는 자취방 .. 2020. 12. 23.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학 교육, 정말 고민이 많습니다 부편집장 김시원, 편집위원 문민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교의 모습 정말 고민이 많습니다. 매일같이 코로나가 우리에게 위기를 줄 것인가 아니면 도약의 기회를 줄 것인가 이런 생각 굉장히 많이 해요.” - 박상규 총장, 20.09.23. 리더스포럼 “코로나 시대가 지나 미래의 우리의 교육은 어떻게 될 것이냐에 대해서 학생들도, 대학교 사회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 백준기 교학부총장, 20.09.23. 리더스포럼 2030년 중앙대학교에 입학한 신입생 A. A가 강의실에서 학우들과 교수를 대면하며 보내는 시간은 많지 않다. 아침에는 부랴부랴 집을 나설 필요 없이 자신의 방에서 ‘VR 기기’를 이용해 실험 과제를 해결한다. 과제를 끝낸 뒤 ‘다빈치클래스룸’으로 등교하여 AR 기반 팀 프로젝트를 준.. 2020. 11. 2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