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호 83호 <현현; 사람이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있음>/전방 100m 앞, 스쿨존입니다4

휘진의 취재노트: 축제 라인업, 내가 물어봤다 편집위원 문휘진 대학가의 축제가 한창이었던 9월, 앞서 행사를 진행한 다른 학교에서 요즘 제일 잘 나가는 아이돌을 섭외했다는 이야기가 돌았다. 언제부터인가 초청 아티스트 명단이 대학의 위신을 대변하곤 했다. 그다지 공신력 있는 지표는 아닐지라도 말이다. 친구들 사이에서도 "누구를 무대에 세울 것이냐"를 두고 추측이 여기저기서 나왔다. 라인업이 공개되자 학교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서 가히 폭발적인 반응이 쏟아졌다. 그만큼 학생들의 기대가 컸다는 뜻일 테다. "싸이를 기대했는데 너무 실망스럽다", "우리 학교 라인업 이것밖에 안 되냐"며 한껏 아쉬움을 토로하는 의견들이 눈에 띄었다. 반면 "이 정도면 잘 섭외했다", "라인업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콘서트를 가라"는 등 만족스럽다는 반응도 있었다. 공통적으로.. 2022. 12. 27.
퀴어커플 CC대작전 수습위원 윤성빈 부편집장 김가윤 한국대학교를 아시나요? 웹툰과 웹소설을 즐겨 보는 독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겁니다. 물론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한국대가 특별한 이유는 단순히 창작물의 단골 소재이기 때문만은 아닌데요. 오픈리로 살아남기 험난한 대한민국에서 한국대만큼은 퀴어들의 성역으로 등장하고는 합니다. 최근에는 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자가 정리한 ‘한국대 출신 게이 명단’이 화제가 되기도 했죠. 온라인동영상 서비스(OTT) 왓챠에서 8주 연속 1위를 차지한 소설 원작 드라마 ‘시멘틱 에러’의 두 주인공도 한국대 재학생으로 나옵니다. 그렇다면 중앙대학교는 어떨까요? 지난 는 성평등위원회 폐지 이후 퀴어 중앙인들의 삶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83호에서는 ‘중앙대에서 퀴어 캠퍼스 커플로 산다는.. 2022. 12. 27.
부지(不知)가 부재(不在)가 되지 않게. 수습위원 곽경은 “우리 학교는 왜 이렇게 경사진 곳에 있어?” “에스컬레이터 타면 되니까 괜찮아.” “진짜 에스컬레이터 없었으면 학교 어떻게 다니나 몰라.” “공강이라 시간도 남는데 빼광 갈래?” “청룡연못 벤치에 앉아 있는 것도 좋고.” 캠퍼스 내 건물 간 이동 시간을 줄여주는 에스컬레이터. 캠퍼스 분위기가 물씬 느껴지는 중앙마루와 청룡연못. 이 모든 것은 학교를 다니는 학생을 위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당신은 일상에서 어느 순간 이곳이 불편하게 느껴진 적 없는가? 가만히 ‘서’ 있으면 이동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는 휠체어를 옮길 수 없다. 잠시 숨 돌리기 위해 찾은 청룡 연못은 바위와 계단을 걸어 내려가야만 비로소 벤치에 앉아 여유를 즐길 수 있다. 이곳은 정말로 모두를 위해 만들어진 공간이 맞을까? .. 2022. 12. 27.
그늘 도시, 그들 도시; 흑석동 이야기 편집장 김민지 수습위원 정상원 PART 1. 그들만의 리그, 재개발과 흑석동 ‘천하제일 일산, 천당 밑에 분당’ 그리고 ‘반포 옆에 서반포(흑석)’ 한때 흑석시장 골목에는 최루가스가 흩날렸다 리그 후반전, 서서히 드리우는 그늘 파이로 본 재개발 결국 재개발의 주인은, 철새는 떠날 수밖에 없다 PART 2. 그래서 흑석이 어떻게 된다고요? 아직 남은 시간이 많습니다 – 1구역 지상 49층, 지하 7층의 주상복합 – 2구역 떠나지 못한 사람들 – 9구역 무엇이 진실인가, 아니면 둘 다 진실인가 PART 3. ‘좋은 주거 공간’에의 반추 주거 공간의 브랜드화 홈, 스위트 홈 덮고 그 위에 다시 얹고 또 다시 살기 좋은 흑석을 만들기 위해선 PART 4. 내가 사랑했던 모든 흑석들에게 흑석 재개발 학생 인식도 .. 2022. 12. 26.